2024. 6. 22. 04:20ㆍ개발로그/공공데이터 서울시 상권 분석
데이터 과학 시간 팀프로젝트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의 상권을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블로그에 글을 쓰며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했는지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를 시작한 계기는 다름아닌 치킨(네, 우리가 자주 시켜먹는 그 치킨🍗 맞습니다!)이었습니다.
갑자기 서울시 상권 분석하는데 치킨이 왜 나오냐고요? 그 이유는 제 중간고사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사실 전 데이터 과학 수업이 너무너무 힘들었어요. 매 수업 시간마다 이해한 내용이 손에 꼽을 정도였는데요...🥲
그러던 중 중간고사가 찾아옵니다. 두구두구... 과연 중간고사 성적은...?!
네. 큰일 났어요. 애써 현실을 부정하며 살 길을 찾기 시작합니다. 이 성적으로 절 뽑아 줄 기업은 없을 것 같아요.
그때 개발씬에 있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 쯤은 들어봤을, 닭튀김 수렴공식이 생각났어요.
결국 개발자의 끝은 치킨집 사장님이 된다는 이론인데요.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발자의 끝이 치킨집이라면, 그 끝에 먼저 가있으리라!
그리고는 자영업 시장에 뛰어들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어라라... 근데 최근 자영업 시장이 좀 이상해요. 코로나 이후로 주춤했던 폐업률이 다시 증가하고 있대요.
개발자 못해서 치킨집 해야되는데 치킨집도 못 할 판이에요.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안정적인 치킨집 창업을 위한 자영업 시장 분석입니다.
1. 서울시의 행정동 별 상권이 어떻게 형성되어있는지 이해하고
2. 자영업에 영향을 주는 요소 파악한 뒤에
3. 파악한 요소를 예측하는 것
까지가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에요.
과연 어떻게 이 프로젝트를 수행했을까요?
궁금하시다면 바로 다음 글 읽으러 바로 가보시죠! (찡긋 😘)
'개발로그 > 공공데이터 서울시 상권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데이터 활용 서울시 상권 분석하기 2 - 선행연구, 데이터 수집 및 확인 (2) | 2024.06.23 |
---|